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134

블로그 운영, 홍보, 광고 관련 유용한 tip, 사이트 모든 것 1탄 내용이 많아 2편으로 나누어 올립니다. 링크 : 예전만해도 티스토리, 이글루스 등 별도의 블로그 서비스를 많이 이용했는데 최근에는 확실히국내에서는 네이버 블로그가 대세인듯합니다.] + 하지만 역시광고 단가자체는 네이버 애드포스트보다 구글 애드센스가 높긴합니다만. 1. 요즘 블로그 광고 시장 현재 블로그 광고 체계는 네이버 블로그 -> only 네이버 애드포스트 티스토리 등 개방형 블로그 -> 구글 애드센스, 카카오 애드핏, 이외 데이블(Dable), 텐핑(Tenping) 등 여러 서비스 동시 사용 가능. 으로 개방형 블로그가 수익형 체계 구축은 유리하지만, 네이버 블로그의 최대 장점은 역시나 네이버 서비스라는 점. 네이버 검색 알고리즙에서도우선 화면 상단에 'VIEW' 항목에서 네이버 블로그와 까페의 내.. 2021. 8. 11.
포스텍, 포항공대 재무재표 들여다보기. 이전 글 한번 참조해주시고... 링크 : 포스텍, 의과학대학원 설립 뒷 이야기들. 포스텍도? 포스텍 의과학대학원 설립 - 카이스트에 이어서. 최근, 구 포항공대, 현 포스텍이 뉴스를 냈습니다. 기사링크 : 포스텍, 2023년부터 의과학대학원 운영한다. 포스텍, 2023학년도부터 의과학대학원 운영한다 [포항=뉴시스] 강진구 기자 = 포스텍은 medico.tistory.com 이 모든 배경에는, 포항공대, 포스텍의 최근 발전 둔화가 원인인 것 같습니다. 최근 잠시 이야기 돌았다가 쑥 들어간, 포스텍의 국립 전환 논의 기사링크 : 포스텍, 국립 전환 논의? 하지만, 그냥 뉴스만 보지말고 실제로 어떤지 살짝 들여다 보면 되겠죠. 우선, 모기업인 포스코도 초/중/고등학교를 운형하는포스코 교육재단에 지원하던 출연금.. 2021. 8. 2.
감상문, 선대인의 신간, '선대인의 대한민국 경제학' 개인적으로는 이전부터 선대인의 주장들을 찬성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종의 반대 의견(Devil's advocate)으로 읽어는 봅니다. '선대인의 대한민국 경제학' 별점 : 5점 만점에 1점. 경제학. 다양한 의견을 읽어보는 것도 논리 공부에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그렇다면, 5천만 경제 호구를 위한다는 이 책,,, 읽을 만 할까요? 여전히 다양한 주장을 하는 건 맞지만, 좋은 주장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이전과 비슷한 주장을 합니다. 여전히 미국금리인상을 통한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영향을 말합니다. (사실 미국금리가 오르던 2004~2007년은 경기 호황이었는데 말이죠.) 오히려 금리란 경기에 후행해서, 일종의 처방으로 내놓는 건데 말이죠. 그리고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이후 대책으로 급하게 금리를 내.. 2017. 11. 7.
'기사단장 죽이기' 솔직한 감상문. '1Q84'의 재탕? '기사단장 죽이기' 무라카미하루키 신간을 전작 '1Q84'와 비교해본 포스팅입니다. 오늘은 잘 안쓰는 독후감상문. 무라카미 하루키의 신작 소설, '기사단장 죽이기' 입니다. 결론 : 이전 작품과 큰 변화가 없다. 조금 언급하자면... 안그래도 요즘 하루키의 이전 소설을 읽고 있어서, 한달전에 1Q84를 다시 읽었었습니다. 그러다비노 이번 소설을 읽으며 이전 작품과 비교하게 되는데... 기본구조가 그대로입니다. 1. 현실과 다른 무형의 존재 (1Q84에서의 리틀 피플과, 기사단장 죽이기의 이데아나 그게 그거인듯...) 2. 그리고 유부녀(혹은 유부녀들)와의 성관계, 3. 젋은 시절에는 활발히 활동하다 나이들어 치매가 들었거나 정신이 흐릿 한 노인 -자신의 아버지나 친구의 아버지- 그리고 이들이 갑자기 내용.. 2017. 8. 30.
책을 읽고.>> '세금혁명' 선대인의 혜안?? 그냥 비관론? 2000년대 들어 경제 분야에 유명했던 저자들을 보자면... 선대인과 장하준 교수가 되겠습니다. 약간 분야는 다르지만, 두 분 모두 진보 성향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런데 이번 선대인 저의 '세금혁명'은 솔직히 실망했습니다. 사실 이 분은 이전부터 계속 부동산 하락론을 내세우던 분인데, 이 책은 부동산 말고 세금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우선, 사실 저자인 선대인이 이전부터 주장하던 부동산 하락론도 그리 믿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도 이전처럼 오르지는 않겠으나, 서울만 보더라도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보았을 때 오히려 저렴한 수준입니다. 기사링크 : 부동산 상승률, 서울 세계 91위 기사링크 : 서울, 소득대비 집값 세계 10위 모름지기 연구란 자기가 보고싶거나 대중이 듣고싶어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현.. 2017. 2. 18.
대한민국 국군 발전에 고함.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오늘은 대한민국 국군에 대한 이야기. 우리나라가 크지 않은데 휴전 국가이기도 해서 국방비 비중이 큽니다. 게다가 군대 규모 자체도 크고(병사, 장교 수만 많은편) 장성 비중이 높아 개선이 필요한 상태인데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l 우선, 그래도 국군이 이전보다는 여러모로 많이 발전하였습니다. 일제시대 잔제로 불리던 억압적인 병영문화, 식사나 부대 시설 등 기본적인 요건들도 많이 나아졌습니다. 비록 아이러니하게도 국민신문고나 국방헬프콜이 가장 큰 역할을 한 것 같지만서도. 우리나라 국군에서 빨리 개선해야할 점으로는… 1. 장성(소위 말하는 스타)이 너무 많다. 지금의 군 조직체계는 광복과 6.25 이후와크게 달라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국방부는 이전 이명박 정권 당시.. 2017. 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