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그대로, 블로그 분석하는 지표에 관한포스팅입니다! 그중 CPC와 페이지CTR이용한 지표.
이전에도 블로그 지표(정확히는 구글 애드센스 지표)에 관해 포스팅했습니다.
CPC, CTR 등 블로그 지표에 관한 설명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주세요.
블로그 꿀팁 3탄! CPC, CTR, Active View 등 관련지표들 파헤치기
구글애드센스 및 서치콘솔의 다양한 지표를 이해하는게, 블로그 운영에 도움이 됩니다! 블로그 운영 꿀팁 2탄, '광고 무효클릭과 클릭유도', 일명 '품앗이'에 대해. 결론은, 광고 무효클릭과 광고
medico.tistory.com
포스팅 순서는
1. CPC, CTR이란?
2. CPC, 페이지 CTR과 광고 수입의 연관성은? 입니다.
1.CPC와 CTR이란?
CPC는 Cost per Click의 약자로, 클릭 한번 당 광고 단가를 의미하고
CTR은 Click through Rate 의 약자로, 페이지를 읽으며 광고를 클릭하는 비율입니다.
똑같은 블로그 방문자 (페이지 뷰 및 노출수) 속에서도, CPC와 CTR 지표에 따라 광고 수입이 다를 수 있는 거죠.
그런데, 이때 CTR 말고 '페이지 CTR'이라는 지표를 주로 사용합니다.
대략적인 수입은, 노출수/CPC/페이지CTR과 비례하게 됩니다.
2. CPC, 페이지 CTR과 광고 수입의 연관성은?
그럼 애매한게,
CPC는 작성한 포스팅의 키워드에 따라, 구글이 입찰하고 게시한 광고에 따라 정해지니,
CPC -> 포스팅 내용 + 키워드로 결정이고,
페이지 CTR은 광고의 위치 + 페이지를 읽는 방문자가 그 광고와 얼마나 맞느냐?로 정의 될 것 같습니다.
페이지뷰과 동일하다고 가정할때,
이 CPC 와 페이지 CTR 수치를 곱해보면 대략적인 광고 수입의 질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CPC는 $가 단위고, 페이지 CTR 단위는 %이니 엉터리 지표지만 그러려니...
블로그 방문자를 늘리자! 1탄, 구글 유입늘리기 by 구글 SEO 최적화
블로그 방문자수(페이지뷰 혹은 노출)를 늘리려면, 검색을 통합 유입을 늘려야 하는데 네이버/다음/구글 중 구글검색을 통한 유입 증가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목차 1. 블로그 유입경로 분석 2. 구
medico.tistory.com
제 블로그를 대충 애드센스 수치를 모아 그래프를 그려보면,

점점 수치가 올라가는 게 보입니다.
여러가지 실험중이라 아직 엄청 높은 정도는 아니지만,
안정적으로 2배 넘게 오르고 있습니다. 덕분에 수입도 똑같은 페이지뷰에서 2배로.
핵심은,
포스팅 내용 + 키워드 + 분량 그리고 광고의 적절한 수와 위치 정도 될 것 같네요.
저도 전문가는 아니라....
여러가지 시도 중에 기록으로 남겨놓는 이야기였습니다.
블로그 꿀팁 3탄! CPC, CTR, Active View 등 관련지표들 파헤치기
구글애드센스 및 서치콘솔의 다양한 지표를 이해하는게, 블로그 운영에 도움이 됩니다! 블로그 운영 꿀팁 2탄, '광고 무효클릭과 클릭유도', 일명 '품앗이'에 대해. 결론은, 광고 무효클릭과 광고
medico.tistory.com
블로그 운영하는 분들은 반드시 여러가지 알아보면서, 정답은 없으니 다양한 시도해보면서
자기만의 방법을 찾아봐야할 것 같네요!
'블로그, 소셜 미디어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수입올리기 2탄! 애드센스 CPC/페이지CTR by 지난 한주 돌아보기 + 자동광고 설정방법 (21) | 2022.07.12 |
---|---|
블로그 애드센스 수입늘리기 꿀팁! 1탄, 애드센스 광고위치와 자동광고 조절로 수입을 늘려보자 (12) | 2022.07.08 |
축! 월간 페이지뷰 11만 돌파! + RPM/CTR 수치 최고치 경신! (14) | 2022.06.30 |
블로그 꿀팁 3탄! CPC, CTR, Active View 등 관련지표들 파헤치기 (14) | 2022.06.29 |
블로그 운영 꿀팁 2탄, '광고 무효클릭과 클릭유도', 일명 '품앗이'에 대해. (9) | 2022.06.29 |
와썸_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