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료경영, 디자인, 의료법85 '땅 찾아 삼만리' 개원하려는 대학병원들- 예전에 놔뒀던 자료 올립니다. 1년전 자료라 좀 다릅니다;; 이제는 전국 왠만한 곳 어디에나 대학병원들이 들어서다보니 개원할 부지를 찾는 것도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물론 서울 명동같은 곳은 완전 오피스화되면서 예전에 있던 성모병원, 성심병원도 부지를 이전했습니다만 마땅히 병원을 개원할 좋은 부지가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전국적으로 대학병원 개원은 붐인 상태입니다. 의정부시- 건국대학교와 을지대학교가 개원을 준비 중입니다. 을지대가 좀 더 유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3/22/2011032202695.html 게다가 을지대는 캠퍼스도 함께 일부 옮겨서 의과대학도 수도권으로 옮기려는 계획입니다. 지금 동국대의 경.. 2011. 4. 2. 의료계 빈익빈 부익부 -빅4와 틈새시장 실제로 지내다보면 의료계에서는 갈 수록 빈익빈 부익부가 심해지는 것 같습니다. 빅4병원. 단일 규모로만 치자면 서울아산병원, 서울삼성병원, 서울대병원 본원과 신촌세브란스병원. 이미 다른 병원들과의 격차가 벌어질대로 벌어졌고 환자들의 인식 자체도 장난 아닙니다. 지금 우리나라는 1차, 2차, 3차로 병원들의 기준에 따라 단계별로 나뉘어 있습니다. 당연히 이에 부합한 기준이 있고, 상급으로 갈 수록 진료비도 비싸지고 말이죠- 하지만 실제로 보면 이 의료전달체계 자체가 무의미합니다. 3차, 즉 상급 종합병원도 빅4 이외에는, 지방 대형병원을 제외한다면 인식 자체가 '치료의 최종역'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작은 병원으로 인식합니다. 상급 종합병원 조차도 작은 수술이나 간단한 질환을 보는 경우가 많은 것입니다- 뭐 이.. 2011. 3. 30. 2010 전국 대학병원 매출액 순위 - 매년, 전국 대학병원 매출에 관해서 포스팅을 해왔습니다. 이건 작년 2월에, 2009년도 매출액을 썼던 내용이고요. -> http://medico.tistory.com/400 올해, 각 대학 홈페이지 예결산공고안과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 공시시스템 https://npoinfo.nts.go.kr/ndp/index_dist.html 을 참고하였습니다. 부속병원은 각 대학 홈페이지에 나와있지만 협력병원의 경우에는 위의 공시시스템을 보고 의료 재단을 찾아야 하기에- 이거 하다가 서울대학교병원이 빠졌네요;;; 9659억원으로 삼성병원을 근소하게 앞섭니다. 크게 보자면 고려대학교의료원의 수입변화가 확실히 눈에 띕니다. 의료원 크기 확장을 통해 수익도 올랐습니다. 다른건 작년과 거의 동일- 가톨릭대학교가 현재 우리나라.. 2011. 2. 10. 을지병원, 의료계의 새로운 시도냐, 불법이냐- 을지병원. 대전에 있는 을지의대와 을지병원, 그리고 서울 노원구에 을지병원이 있는데 최근 의료계에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40 비영리 의료법인인 을지재단은 연합뉴스의, 연합뉴스 TV의 종편 개편에 투자하겠다고 나섰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여러 반발을 사게 된 것이죠.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은 유권 해석으로 의료법 위반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지금 연합뉴스 TV가 지금의계획대로 간다면 연합뉴스와 을지병원이 2대 최대주주로 가는데 한편으로 복지부에서 '단순투자'로 규정함으로써 을지병원의 실익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사회 각계각층에서 반발하는 상황- 시민단체, 법조계 등에서 의료법인의 출자가 위법.. 2011. 2. 5. 의사에게 가장 필요한 'OO'지식?? 2편. 며칠전에 의대생과 마이너스 통장에 대한 이야기를 포스팅했습니다. 마이너스 통장에 대해서는 잘 모르시는 분들도 계실 테니 아래 글을 참조해 주세요- http://medico.tistory.com/463 굳이 며칠 전에 포스팅한 것에서 더 나간 건, 그 당시 적고 싶었지만 길어서 못 적었던 이야기를 마저 적기 위해섭니다. 엔화 대출. 말 그대로 엔화로 대출을 받는 건데, 이건 일반적인 우리 주변의 대출과 달리 일본의 금리와, 엔화 환율의 영향 두 가지 모두 받기 때문에 상당히 복잡한 작품 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의사선생님들이, 별다른 의문없이 쉽게 엔화 대출을 받았었습니다. 실제로 금융당국에서는 외화 대출을 엄격하게 금지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엔화대출의 경우에는, 의료기기구입을 위한 경우에는 엔화대출을 허.. 2011. 1. 20. 대학병원도 브랜드화-성모병원, 백병원, 성심병원 이야기 오늘은 잠시 진부한 이야기 좀 할까 합니다. 대학병원. 대개 'OO대학교 부속병원'이라는 이름이 가장 흔하지만, 이는 대개 부속병원이 1,2개인 경우이고 부속병원이 많은 병원들은 조금 이야기가 다르답니다. 예전 포스팅에서 매출액이라든지, 병상당 매출액 등 여러 자료 올렸었죠. 2010/09/19 - [의료경영] - 전국 의과대학병원 병상수/매출액 및 병상당 매출액 총정리 통계 2009 오늘은 조금 논점을 바꾸어서 여러 대학병원들, 그 중에서도 일종의 브랜드화를 시도하는 병원들 이야기입니다. 이들의 특징은 오히려 본교보다 인지도가 높다는 것-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인제대학교 백병원,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포천중문의대(現 CHA의과학대학) 차병원 등이 있겠습니다. 이외에 부속병원이 아닌 협력병원이지만, 울산.. 2010. 12. 10. 이전 1 ··· 5 6 7 8 9 10 11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