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료경영, 디자인, 의료법85

'요지경'우리나라 의료전달체계의 답답한 현실- 의료전달체계? 단어 자체가 선뜻 다가오지가 않습니다만, 우리나라 의료 보험 및 의사들에게 있어 아주 중요한 문제입니다. 크게 보아 의료의 비용 효율성과 양질의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죠. 1989년 7월 1일, 우리나라에 전국인 의료보험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더불어 1차, 2차, 3차 병원으로 이루어진 전국민 의료전달체계도 실시되었습니다. 즉 병의 중증도, 편의성 등에 따라 각기 다른 병원으로 가도록 유도함으로써 경한 질환에는 지역 의원, 중한 질환은 종합병원, 종합 요양병원으로 가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실제로 대학병원들도 비슷해보여도 진료과목, 진료실적 등에 따라 2차 병원과 3차 병원으로 나뉘는데- (이전 포스팅에서 2차병원과 3차병원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이 있어 링크합니다 - http:/.. 2010. 3. 3.
새로운 '개원 모델', 개원과 봉직의 병행형 메디컬 센터 오랜만에 포스팅입니다. 역시나 가면 갈 수록 개원하기 힘들다는 선배들 말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 병,의원의 직접적인 돈과 관련된 급여에 대해 보자면 간단하게 예를 들어, 대한병원협회에서 낸 ' 건강보험 요양급여 비용' 2010년판을 보자면 차등수가라는 항목이 나옵니다. '의과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보건의료원의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1인당 1일 진찰 횟수를 기준으로 진찰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차등지급한다'75명 미만 100%, 75~100명분 90%, 100~150명분 75%, 150명 이상 50% 의료보험이 의사에게 진찰료를 지급할 때 그 진찰료도 높지 않지만 본 환자 수가 많으면 그만큼 10에서 최대 50%까지 진찰료를 깎는다는 조항이죠. 사실 의원에서는 하루에 7~80명 보는 경우도 있기에-.. 2010. 2. 18.
대한민국 의료 경영인 열전-척추에서 건강검진까지- 우리나라 의학. 의료보험 도입으로 인해 국민들에게 더 다가갈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질은? 아직 걸음마 단계일지라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고 스타 의사들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서론이 좀 길 수 있습니다. 연구 계통이라면 의학에 관한 경우라도 비의료인이 많아서- 가장 대표적인 예라면 전자공학 박사이신 조장희 박사님이 계시겠습니다. 현재 가천의대 석좌교수 겸 뇌과학연구소장이시죠. 우리나라 과학자중 가장 노벨상에 근접했다는 평가를 받는- PET 개발, 2.0 T MRI, fMRI 개발 등 영상의학관련해서는 세계 최고의 권위자시죠. 그렇지만 오늘은 연구분야를 얘기하려는 건 아니고- 의사들이 그렇게 힘들다 힘들다하는데 그 속에서도 의료경영인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분들 몇 분을 소개할까 해서입니다. 개인적으로 꾸준.. 2010. 2. 16.
이젠, 대학병원도 전문@@인 도입 열풍~ 분명 휴가기간이지만 전 아직도 병원에 있습니다;; 다른 병원 섭인턴쉽을 신청한지라- 오늘 포스팅은 새로운 소식을 접하고 나서입니다. 자료 출처는 제가 자주 보는 데일리 메디입니다. [인사]차병원그룹 총괄부회장에 황영기 前 KB금융지주 회장 CHA의과대 차병원그룹은 전 KB금융지주 회장 황영기(黃永基) 씨를 1월5일부로 그룹 총괄부회장 겸 산하 생명공학 기업 ㈜차바이앤디오스텍 대표이사 회장으로 영입했다. 황영기 신임 총괄부회장은 약 30년간 풍부한 경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외 유수한 기업 및 금융기관에서 활동해 왔다. 황영기 차병원그룹 총괄부회장 겸 ㈜차바이오앤디오스텍 대표이사 회장은 서울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재무관리 석사를 마친 후 삼성그룹 내 물산·전자·증권·비서.. 2010. 1. 6.
부산에도 @@이? -곧 개원하는 해운대백병원, 원자력의학원- 오늘은 부산에, 정확히는 부산 경남 지역에 올 다가오는 2010년에 개원할 두 병원에 대해 포스팅할까 합니다. 최근 두 재벌병원들-당연히 서울삼성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이 개원한 이래로 갈수록 쏠림 현상이 심해져 가고 있고 지방에서는 새로운 병원 개원도, 증축조차 감감 무소식이던 중 2010년, 두 병원이 개원을 앞두고 있습니다-게다가 작은 병원들도 아니고 개성강한 두 병원이. 바로 인제대학교 해운대 백병원과 원자력의학원의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왜 개성이 강한지는 지금 가볍게 소개하면서 말씀드립죠. 1. 해운대 백병원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의 6번째 부속병원으로 2010년 3월 개원예정입니다. 2월부터 진료를 시작할 예정으로 지상 16층, 지하 4층 총 1,004병상으로 뒤이어 병상 확충으로 1,200병상 규모의.. 2009. 12. 30.
우리나라 대학병원의 미래- 흔들리는 축, 한양대학교와 중앙대학교 요즘 계속 경영에 관한 글 올리면서 대학병원들에 대해서 올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여러 사건들이 겹쳐 나오면서 다시금 포스팅합니다. 대학병원들에서 통폐합관한 글은 이미 올렸습니다. 처음에는 한의학에서 최근 어려워지면서 동국대나 경희대 이야기를 올렸지만 의과대학들의 경우에도 경영난이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올렸드랬죠. 그런데 이번에는 한양대학교와 중앙대학교 의료원에서 변화가 나오고 있다는 말이죠. 한양대학교의 경우에는 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정형외과, 신경외과, 류마티스 계열에서 인지도가 높았지만 최근 수도권 대학병원 난립과 재벌 계열의 대형 병원들의 등장으로 힘에 부치는 실정입니다. 우선 중앙대학교 의료원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앙대학교 의료원의 시작은 1968년, 가톨릭의과대학 교수들 일부가 중.. 2009. 12. 24.
반응형